○ 덕수궁 탐방
덕수궁은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주로 피난 갔던 선조가 다시 한양으로 돌아왔을 때, 월산대군 저택과 그 주변 민가를 여러 채 합하여 ‘시어소’로 정하여 행궁[정릉동 행궁]으로 삼았던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이후 광해군이 즉위한 후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경운궁’이란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궁궐의 모습을 갖춘 덕수궁은 인목대비 유폐와 인조반정을 겪으면서 규모가 축소되었고, 특히 인조가 즉위한 이후 즉조당과 석어당을 제외한 나머지는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었습니다. 이로써 덕수궁은 더 이상 왕이 공식적으로 머물며 국정업무를 보던 궁궐의 기능을 하지 못하였습니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난 이후 덕수궁이 다시 역사에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을미사변으로 신변의 위협을 느낀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후, 1897년 2월에 덕수궁으로 환궁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대한제국이라는 황제국을 선포한 후 황궁으로서의 규모와 격식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1904년 덕수궁 대화재와 1907년 고종의 강제퇴위 이후 덕수궁은 그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습니다. 이때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이름 또한 바뀌게 되었습니다. (덕수궁 역사 해설 중에서~)
장마철인 요즘 비예보에 둘레길 대신 고궁을 둘러보기로 하였다. 강산이 몇 차례 변했을 기간에 다시 찾은 덕수궁은 '대한문 월대재현'공사로 입구가 칸막이로 드리워져 있다.
칸막이 뒤 통로로 집입하여 바라본 전경은 여유로운 궁과 주변의 현대식 빌딩들이 대조를 이루며 신구 문명 조화의 오묘함을 느끼게 된다.
화초와 역사를 간직한 수목들이 자리한 궁터를 걸으며 더위도 피할겸 석조건물인 국립현대미술관으로 들어섰다. 미술관에는 '한국미술 어제와 오늘'주제의 작품들이 전시되고 있었다.
미술에 문외한인 나에게는 각 종 불상과 도자기들은 흥미로운 작품들이었다.
미술관을 나서서 분수대 주위를 돌아 황실 가족의 생활 공간으로 대한제국의 대표적인 서양식 건물 '석조전'을 지나 정전인 '중화전'을 둘러본다.
1904년 을사늑약이 강제 체결된 비운의 장소 ' 중명전'이 덕수궁 담장 밖에 자리를 잡고 있다.
중화전 뒤로 선조가 임시 거처로 사용했던 '즉조당'과 '석어당'이 위치하고 있다.
외국 사신 접견용 전각 '덕홍전'과 고종의 편전이자 침전으로 사용된 '함녕전'이 자리하고 있다.
덕홍전과 함녕관 뒤로 높은 곳에 러시아 건축가 사바틴이 설계했다는 '정관헌'이 한국과 서양식의 독특한 모양으로 되어있다.
이렇게 고궁을 둘러본 후 연못을 돌아 대한문을 나섰다. 대한문 앞 시청의 청사도 옛 건물과 현대식 건물이 어울려 고궁에서 느꼈던 비슷한 느낌을 준다.